Skip to content
 

당신은 몇년차 프로그램어 입니까?

회사 면접이나 업무중에 자주 들어본 얘기라고 생각한다.

이 질문에 대해서 자신의 근무 년수를 답하는게 기본적인 답변이겠지만 좀 다른 관점에서 연차를 생각해 봤다.

1년차 – 레포트 관련

정해진 출력물 또는 조회관련 업무

2년차 – UI 관련

정해진 플로우에 따른 User Interface

3년차 – DataBase 관련

내부 처리 데이타 구조 정의

4년차 – Network 관련

서버 또는 서비스간 Interface

5년차 – System 설계

전반적인 서비스/시스템 구성 및 운영 설계

모든 업무가 위의 단계별 처리가 다 포함되지는 않을것이며 요즘의 많은 프로젝트가 3년차 이내로 처리가 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절대적인 연차하고는 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위 내용은 과거 인터넷 시절 이전에 실제 업무 분장에서 적용하던 방식이다. 하지만 과거의 방식이라고 해서 요즘의 개발과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한다.

1년차의 경우는 업무 분석 능력이나 전체를 보는 능력이 없다보니 결정된 결과물을 표시하는 정도가 가능하다. 대부분의 웹페이지의 조회 정도가 이부분에 해당될 수 있다.

2년차의 경우는 어느정도 업무에 대한 이해도와 서비스 플로우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므로 데이타 입출력 관련 설계 및 개발이 가능하다.

1,2년차의 경우는 눈에 보이는 기준의 데이타 처리쪽이라면 3년차 이후는 눈에 보이지 않는 설계나 개발의 더 중요도가 있다.

3년차는 업무를 이해하는 선에서 끝나는것이 아니라 해당 업무를 IT에 접목하는 기술을 습득한다는 의미라고 생각한다.

4년차는 통신이나 서버관련이다. 3년차와의 차이라면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관련은 동일하나 Database의 경우는 그 결과가 남을수 있으며 상당부분 패키지에 의존성이 높다는 점이 그 차이일것이다. 즉 예외 처리에 대한 부분에 얼마나 대응력이 있는가가 그 기준이다.

5년차는 위의 모든 업무를 파악해서 개발 방향이나 서비스방향에 대한 총괄적인 시각을 가지는 업무라 할수 있다.

1,2년차는 사원급이고 3,4 년차는 대리급 5년차는 과장 이상급이라고 생각된다.

물론 상기의 모든 기술적 기반을 다 공부하고 경험하기란 쉽지 않다. 많은 업무 부분이 분업화와 자동화가 되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모든 시스템이 패키지나 단순 UI정도 수준에서 개발이 가능하지는 않을것이면 결정정인 문제의 해결은 근본적인 기술 기반없이는 해결이 안되는 경우를 많이 접했을 것이다.

근무 년수나 프로젝트의 경험 갯수 보다는 내가 장기적으로 IT관련 업무를 할때 어느 부분의 능력이 탁월하고 부족한지를 아는것이 중요할 것이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