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작은일에 소홀하면 큰일을 그르칠 수 있다

누구라도 다 알고 있는 말이지만 참으로 실천하기 힘든 말이다.

작은일과 큰일을 구분하기도 그리 만만하지 않을것이며 역시 큰일이 작은일 보다 중요하기 떄문에 작은일이 자꾸 잊혀지거나 결국에 큰일이 되곤 한다.

사무실에서 직원들과 일하다 보면 메인 업무에 집중하느라고 간단한 일을 놓치는 경우를 자주 볼수 있다.
예를 들어서 주변정리 정돈을 잘하라던지 누구에게 연락할게 있다던지 또는 등본같은 서류 내라고 하면 맨 마지막까지 버티다 내는 직원들이 많다.

이런 직원들이 주요 업무는 잘하고 있을까?
개인적으로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작고 일들은 어렵다기 보다는 귀찮은 일이다. 이런 일들이 자주 쌓이다 보면 결국 메인으로 하는 일보다 볼륨의 규모가 더 커지게 된다.

신규직원들이 들어오면 꼭 해주는 말이 하나 있다.
만일 어린이에게 싸리 빗자루를 끌고 가라고 하면 쉽게 끌고 가지만 아이도 자라고 싸리빗자루도 동시에 자랄서 아이는 성인이 되고 싸리빗자루는 느티나무가 된다면 절대로 끌고가지 못할꺼다 하지만 중간중간에 싸리빗자루에서 필요없는 가지를 치면서 기둥을 만들면서 간다면 그정도는 끌고갈 힘이 생길 수 있을거다. 가지많은 나무에 바람잘날 없다고 하는일의 가지수가 많아지면 중요한 일에 집중도가 떨어져 결국은 중요한 일도 매번 허술해 지는 경우가 많다는 내용이다.

개인적으로 바탕화면에 아이콘이 2,3개 정도만 있는 편이다. 브라우져 아이콘 하나하고 현재 진행중인 업무 파일 또는 폴더다. 그외는 모두 지우고 일한다. 바탕화면도 이미지가 아니라 그냥 회색으로 어두운 편이다.
컴퓨터를 켜고나서 무슨일을 할지 고민하기 싫어서 벌써 몇년째 시행하는 방법이지만 업무 집중도나 효율면에서는 바탕에 어것저것 다 깔아놓은것 보다는 더 잘되는 느낌이다.
프로그램 실행도 2,3개 이상 한번에 띄우지 않는다. 지속적으로 봐야하는 프로그램이 아니라면 필요할때 그냥 실행하고 종료한다. 그게 결과적으로 가장 많이 쓰는 프로그램이 빨리 돌게 리소스를 몰아주는 효과도 있다고 생각한다.

머하나 제대로 하는것 없이 일만 잔뜩 벌리면서 맨날 바쁘다고 하는 사람들은 좀 자신을 뒤돌아 볼 필요가 있나 고민해 보자.

MS 제품 정책에 대한 불만

컴퓨터가 바뀌어서 부득이 vista를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visual studio 개발환경이 전혀 호환되지 않아서 참으로 난감한 상황이 되었다. 자신들이 만들어놓은 프로그램도 돌아가지 못하게 만드는게 무슨 s/w 회사인지 참 욕먹어도 싼 기업이다. 가격이 일이십만원도 아닌 백만원가까이 되는 컴파일러가 그보다 훨씬싼 OS가 바뀌었다고 돌아가지도 못하게 만드는게 돈벌라고 작정하지 않고서야 무슨 생각인지.. 기존 CD를 가지고 오면 바꿔주기라도 한다면 모를까 MS는 제품 업그레이드 정책 자체가 거의 유명무실한 기업이다.

S/W 불법단속도 필요하지만 그보다 소비자가 어떠한 불편을 겪고 있는지를 한번쯤 생각할 필요가 있지는 않은지.
그냥 모든 책임이 소비자에게만 있고 MS에게는 기껏해야 배포시점 연기나 기존 제품 연장 수준이라면 소비자는 전혀 재 구입이 필요치 않은 소프트웨어를 재 구입해야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할것이다.

이 난국을 멀로 해결할지…

‘007 퀀텀오브솔러스’를 보고

오랜만에 007영화를 봤는데 매우 실망이다.

007영화의 백미는 신무기를 기반으로한 첩무전인데 이번 영화에서는 어떤 신무기도 나오지 않고 그냥 자동차와 모터보드 추격신만 나온듯하다. 마치 다이하드의 비디오판 수준으로 느껴질 만큼.

내용도 앞뒤가 별로 였고 이번작은 추천하고 싶지 않은 비디오물 수준이라고 보면 될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