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연봉과 호봉의 차이

연초도 되고 하니 아마도 대부분의 회사가 연봉 협상을 하는 시기가 아닌가 싶다.
우리회사도 예외없이 연봉협상을 하고 나니 만감이 교차하는 마음이 든다.

직원들과 연봉협상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점이 참 많은거 같다.
요즘 직장인들은 연봉과 호봉을 정확히 구분을 하는지 의문스럽다.

호봉이라함은 특별히 개인의 성과나 회사의 성과와 무관하게 일년에 평균 2호봉 정도 올라가는 형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공무원들이 호봉제로 운영된다. 회사입장이나 개인 입장에서는 큰 부담없이 채택하는 방식이다.

연봉제는 개인의 능력기준에 해마다 연봉 계약을 하면서 과거 실적과 미래 기대치에 대한 평가에 따라 그 정도가 결정된다.

물론 더 복잡한 기준과 설명이 있을수 있겠지만 아마도 어느정도는 맞는 구분이라고 생각한다.

연봉의 가장 큰 기준의 실적평가및 개인의 능력치일것이다.
하지만 그 평가는 절대적으로 평가자(연봉협상자)에게 있는것이다.

개인이 받아야 할 연봉의 기준을 생각할 수는 있지만 자신만의 잣대를 놓고 평가하는건 무리라고 생각한다.

회사가 이익이 없을때도 일정한 정도의 임금상승이 있어야 된다는 생각은 틀린게 아닌지 생각할 필요가 있다. 물론 모든 이득이 직원에게 갈수도 없다. 주식회사의 특성상 회사의 주인은 주주이니까.

초기 회사 창업시는 투자성격으로 회사 직원의 임금이 책정되지만 어느정도 진행된 회사는 절대적으로 회사의 경영실적에 따른 바탕에 개인의 능력치를 배분하는 방식이 적당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개인별 차별에서도 각자가 생각할때는 자기보다 열심히 한사람이 없다고들 생각한다. 그리고 자기보다 우수한 직원은 아주 조금 그 가치를 인정하는 매우 이중적 잣대를 자신에게 적용한다.

연봉의 협상의 회사 입사때 한번 결정을 하는것에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특별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한 한 회사에서 갑자기 임금이 획기적으로 올라가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 처음에 입사할때는 직장을 구한다는 생각에 무조건 회사 규정에 따른다고 했던 직원들도 1년이 지나고나면 자신의 기준에서만 연봉이 올라야 되는 기준만을 고집하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 볼 문제다.

특히 동종업계의 평균임금을 들먹이거나 대기업의 기준을 말한다면 그곳에 가지 못하는 자신의 실력과 그냥 시키는 일만 열심히 했다고 회사의 실적과는 전혀 무관하게 자신의 판단기준(주로 친구들 임금인상분)에 해당하는 임금 인상을 요구하는것이 정당한 것인지..

실제 연봉제 이지만 개별적인 임금 차이에 대해서는 오히려 직원들이 더 반감을 사면서 아무 의미없는 연봉제에만 연연하는건 아닌가 싶다.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회사는 직원간의 상호 급여를 알고 있는것 같다. 이러다 보니 실제 연봉제를 채택하고도 평균임금 인상이나 나눠먹기식의 평가가 이뤄질 수 밖에 없다.

직장인들은 자신의 연봉을 요구하는데 있어서 자신의 의지만을 말할게 아니라 회사가 어떡하면 자신을 잡을까 더 생각해야 할것이다.

자기가 받는 연봉이 자신의 자존심이라고 생각하기 전에 자신이 연차에서 자신의 어떠한 능력을 가지고 있고 그 능력이 이 사회에서 어떠한 가치가 있는지를 더 생각해야 한다.

요즘 집 한채가격이 적어도 3억 이상은 될거라 생각한다.
한달에 백만원을 더 받는다고 해도 25년은 모아도 될듯말듯한 금액아닌가?

아무리 능력이 없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개인의 인생과 한달 월급과의 비교는 말도 안돼는 가치의 차이가 있을것이다.

단지 월급만이 자신의 인생 보상이라 생각하지 말고 자신의 한달동안의 가치를 인생에서의 기준으로 한번쯤 생각해 봤으면 한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