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하나로텔레콤의 고객정보 유출

이제서야 대형 포털들이 고객정보를 가지고 돈버는 일이 줄어들거 같다.

사실 뉴스에 나오기 전부터 회원가입시 받은 정보를 가지고 텔레마케팅에 이용하고 있는건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합법이냐 불법이냐의 문제가 아니라 기업윤리에 해당하는 사항이다.

옥션에 대한 개인의견에 대한 한분의 의견이 옥션의 문제가 아닌 우리나라 회원 가입절차상의 문제가 아닌가 짚어주셨다.

나 역시 외 사이트 가입시 이리 복잡하고 개인정보를 그리도 많이 물어보는지 모르겠다. 예전에 CRM이라는 것을 이용하면 회원의 정보를 조합해서 효과적이고 적극적인 마케팅 수단이 된다고 믿었던 시절이 있다.

예전에도 같은 생각이지만 단지 마우스 몇번 클릭한 정보를 가지고 어떻게 사람의 구매 성향을 판단할 수 있을까 생각해 봐야 한다. 우스개 소리로 10년 넘개 산 와이프 속도 모르는데 사이트에서 물건 몇번 산 사람의 성향을 판단한다는 것 차제가 말도 안돼는 뜻이다.

우리나라의 주민번호는 매우 훌륭한 정책인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인터넷이라는 공개장소에서 주민번호가 꼭 필요한지는 다시한번 생각할 필요가 있다. 외국처럼 PIN 번호나 개인 인증서 같은걸로 인증만 하면 되지 굳이 그 정보가 사이트게 기록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치 않다.

전화번호와 주소 역시 마치 이벤트 당첨되면 연락할 곳이라고 하지만 실제로 사이트에 가입만 한뒤에 이벤트나 선물또는 감사 전화라도 받아본적이 있나 생각해보자. 사이트 가입하면 날라오는 SMS가 가끔있기는 하지만 그다지 받가운 내용은 아닐거라 생각된다.

물건을 사거나 할때 항상 반복적으로 연락처를 입력하게 된다. 처음에 입력한 내용이 있다면 단지 타이핑을 줄여주는 정도라고 생각되고 두번이사 구매한다면 이전 구매내역이 있으니가 결국 이도 고객의 위한것이 아니라 텔레마케팅에 이용한 정보일 뿐이다.

정통부가 하는일이 사이트의 보안을 철저히 하라고 지시하지 말고 고객정보를 최소화 하는 정책은 새울수 없는건지 답답하다.

대형쇼핑몰에서 물건사기 위해서 돈만 내면 되는 이런 세상에 개인정보가 마치 돈인양 입력하게 해놓고 아무것도 못해서 죽어간 인터넷 사이트가 얼마나 많은가. 망하면서 회원 정보를 카드회사나 정보 매매사이트에 팔아먹는등의 일이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기 때문이다.

사이트 가입은 이메일 하나면 정말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이메일이 가정 중복이 안되는 이름이고 컴퓨터를 쓰는 한 연락하기가 가장 저렴하다면 사이트에서서 그 의미가 정확한것 아닌지.

돈내고 물건사면서 신상정보까지 다 주는 이런 말도안돼는 것 자체가 사라져야 한다. 구매 영수증만 있으면 되는거지 내가 누군지를 왜 밝혀야 하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인터넷 사이트 들도 더이상 회원 정보가 돈이 된다는 생각을 접어야 한다. 만일 회원 정보가 돈이 된다면 행자부가 가장 가치있는 조직인지 생각해 봐야 할것이다.

스래드간 Sync 처리시 주의할점

멀티스래드 또는 멀티프로세서간 데이타 처리를 할때 자주 거론되는 기술이 Sync 이다.

본인 역시 가끔 실수를 하다 보니 한번은 꼭 정리할려고 했던거라 개념적인 내용을 정리해 볼려고 한다.

멀티스래드와 멀티프로세서의 차이는 하나의 실행파일이냐 아니냐 정도로 구분을 하면될것이고 이하 각 스래드로 통일하도록 하겠다.

Sync라는것의 필요성은 두개 이상의 스래드가 동시에 하나의 리소스를 차지하기 위한 충돌을 막기 위한 방법이다. 예를 든다면 하나의 파일을 동시에 쓰는 경우 또는 프린터를 하는경우 약간 다른 의미일수는 있지만 통신으로 데이타를 전송하는 경우 등이다.

자주 사용하는 명령은 Mutex, Semaphore, Event 일꺼다. 각 명령의 사용법은 인터넷에 너무나 많이 있으니 굳이 설명할 필요는 없고 각각의 명령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전문적인 기술적 설명이 아닌 의미적인 설명으로..

Mutex는 딱 한개만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파일쓰기와 같이 두개가 동시에 쓸경우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편리하다. 단점이라면 2개 이상의 스래드가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 우선순위가 없다는 것이다. 시스템에서 어느정도 공평하게 한다고는 하나 실제 사용을 해보면 먼저 대기하는 스래드가 먼저 진입한다는 보장이 없다.

Semaphore는 접속 가능 숫자에 따라서 의미가 조금 다르게 쓰일 수 있다. 최대 1개 공유로 하면 Mutex와 매우 유사하게 동작한다. Mutex와 차이라면 대기 순서대로 진입순서가 보장된다는 점이다.

Mutex와 Semaphore가 다른 점이 하나 더 있는데 하나의 Mutex는 하나의 스래드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아무 의미가 없으나 Semaphore 는 스래드와는 별개로 처리가 가능하다.

예를 든다면 Mutex는 두개의 스래드가 lock 을 처리 할때만 동작한다는 의미다. A 스래드가 lock을 하고 B 스래드가 unlock을 할 수 없다. Semaphore는 스래드와 무관하게 누구나 lock 과 unlock을 사용할 수 있다. Mutex 로 하나의 스래드에서 lock을 반복 호출해도 아무런 반응이 없지만 Semaphore 는 하나의 스래드에서 lock을 반복호출하면 누군가가 unlock을 해줄때까지 대기 상태가 된다.

Event는 Mutex와 매우 비슷하나 의미적으로 lock, unlock이라기 보다는 flag의 의미로 사용한다.

 

위의 내용에 대한 의미를 알고서 해당 함수를 본다면 좀더 효과적인 코딩을 할 수 있을 것이다.

Linux가 PC 용 OS가 되기 힘든점…

개인적으로 리눅스를 상당히 좋아하는 편이다.

아마도 개발자 출신이라면 대부분 리눅스에 대한 어느정도 관심이 있을것이며 사용에도 무료인 OS가 이리도 부진하는데 의하하게 생각하는 사람도 많을줄 안다.

과거 DOS 시절이나 리눅스 정도는 아마도 국내 기술력이면 충분히 개발이 가능할것이다. 하지만 아마도 아무도 쓰지 않는 OS가 될것은 누구봐도 알수 있기 때문에 투자나 연구 개발이 힘든 분야다.

마이크로소프트의 OS 독주는 이 분야를 발전시킨다기 보다는 독점으로 인한 발전의 저해요인이 더 클것이라고 생각한다. 유일하게 매킨토시가 그 부분을 막고는 있지만 그 성향이 전문집단 위주로 되 있다보니 대중성에서 상당히 밀리는건 사실이다. 물론 미국에서는 많은 비율을 사용하기도 하고 맥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그렇지 않다고 말할 수도 있지만 현실적으로 윈도우의 사용자 환경을 따라올수는 없는 실정이다.

처음으로 돌아가서 리눅스가 왜 PC용 OS가 되지 못할까? 맥이 기본으로 사용하는 OS가 리눅스와 비슷한 FreeLinux계열인걸로 봐서는 별로 어려운 문제가 아닐걸로 생각된다.

개인적으로 두가지의 문제가 리눅스가 사용자용으로 전환하지 못하는걸로 생각한다.

일단 개인사용자용 리눅스는 일반적으로 생각할때 무료다. 무료기 때문에 발전하지도 못할뿐더러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점이다. 리눅스의 가격이 2,3만원정도로 저렴하게 책정해서 UI를 잘 만들었을때 경쟁력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과거에는 많은 어플이나 오피스 프로그램등이 그 환경을 제한했지만 현재는 단지 웹브라우져만 잘 돌고 게임만 잘 돌아도 사용할수 있는 분야는 적어도 30%는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두분째 문제는 SDK라고 생각한다. 좀더 확장해서 본다면 OCX, COM 등의 환경이다. 리눅스역시 이런게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일반인이 개발하기에 매우 껄끄러운 부분이다 보니 브라우져만으로는 다양한 멀티미어 및 프로그램 처리가 어려운 점이다. SDK역시 OS를 배포하기 위한 아주 중요한 수단이라고 생각한다.

세상에 공짜가 없듯이 공짜는 그 값을 하는 것이다. 윈도우가 컴퓨터 H/W만큼이나 비싼점은 아무리 생각해도 지나침이 있다고 본다. 나 역시 S/W를 개발하는 입장이지만 MS의 가격정책에는 무리가 있다.

리눅스 진영의 공짜 정책은 결과적으로 MS의 독주를 막지 못하는 결과에 어느정도 기인하고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