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IT기업들의 사업계획서

2000 년 초반 벤처붐과 함께 사업계획서 한장에 수십억이 왔다갔다 했던 기억들이 있을것이다. 그 이후로도 IT기업들은 사업기획서를 꼭 만들어야 한다는 중압감에 분기마다 사업계획서들을 만들고 있다.

IT기업들중에는 100명도 넘는 기업이 간혹있지만 대부분 20명 전후의 작은 회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 이정도 규모의 회사는 대부분 자신의 제품보다는 남의 회사 일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사업계획이라하면 매출/투자에 대한 계획이 있어야 하나 대부분의 사업계획서는 순수한 매출만 적혀있는 경우가 많고 투자는 인건비 비용으로 체워져 있다.

이러다 보니 사업계획이라기 보다는 영업희망 계획인 경우가 많고 그 실효성도 무의미 하며 달성했을때 주는 포상 역시 본인들이 열심히 했다기 보다는 거래처의 결정에 좌우되는 계획인 것이다. 물론 거래처가 결정하기 위한 노력을 무시하는건 아니다.

생선장사가 사업계획을 쓰기 어려울것이다. 손님의 왔을때 친절하게 파는거 말고는 뉴스에서 생선이 건강에 좋다고 한번 떄려주는게 매출에 지대한 영향이 있을것이다.

IT업계의 경우 본인의 의지보다는 전반적인 사회 분위기가 투자분위기냐 아니냐이지 아주 신기술이 있지 않는한 가격 경쟁력에 의존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사업계획서에서 매출계획만 신경쓰지 말고 투자 계획에 대해서 작성하는 투자 계획서를 쓰는게 장기적으로 회사가 발전하게 된다. 단순한 인건비 지출은 비용이지 절대 투자가 아니다. 복지또한 장기적인 투자로 생각될 수 는 있지만 당장 매출에 영향을 주지는 못한다. 실제 개발을 위한 투자가 이뤄지지 않고 일하면서 기술을 습득하는 식의 접근은 경쟁력도 얻을 수 없고 매번 남의 일만하다보니 회사에 노하우가 쌓이지 않고 개인에 쌓이게 된다. 퇴사시 고스란히 자산이 없어지는 셈이 되는것이다.

사업계획서 꼭 써야 한다. 하지만 잘 써야 한다.
보여주기 위한 멋진 파워포인트 사업계획서나 희망계획서 보다는 정말로 해야 할일과 할수 있는일이 적혀진 텍스트 몇줄이 더 나은 사업계획서가 될 수 도 있을것이다.

한심한 국회의원들

미디어법 표결처리를 보면서 개판인 국회를 보면서 세금낸게 아깝다는 생각뿐이다. 기물 파손한거 CCTV 확인하고 모두다 개인 청구를 해야 할 것이다.

누가 잘하고 잘못하고가 아니라 국민민생과 관계도 없는(따지고 들면 관계 없는 법령하나 없겠지만 비중에 차이는 있을것이다) 법령하나에 양당이 목숨걸고 하는걸 보면 한심하기만 하다.

정말로 민생에 필요한 법안통과를 위해서 그리 몸싸움 한번 해봤나 싶다. 자신들의 정치생명 연장을 위해서만 목숨거는 국회의원들이 세금만 축내고 있는생각이다.

한나라당이나 민주당이나 의석수가 많을때난 양쪽 모두 날치기를 일삼고 자신들의 주장이 아니면 다 묵살하면서 왜 자기만 맞다고 우기는지 초등학생도 그정도는 타협은 할것이다.

자기 밥그릇을 절대 양보하지 않는 타협은 있을수가 없다. 자신만 맞다고 우겨도 토론이 안됀다. 결국 남의 애기 들어줄주 모르는 소인배들이 모여서 쌈박질만하고 있는 국회의원들을 지켜봐야 하는 암울한 대한민국의 미래가 어둡기만 하다.

솔직히 한나라당도 밉지만 민주당은 더 한심하다는 생각이다. 지지하고 안하고를 떠나서 우리당과 노무현대통령과 그렇게 거리를 두고 욕하더니 이제는 그걸 등에 없고 마치 대한민국을 다 지키는것 마냥 설치는데 정말 양심있는 정치인인지 묻고 싶다. 100번 물어도 잘못이라고 답하면서 책임지고 의원직 사퇴도 한명 없는 위선자 집단이다. 자기들이 의석수 많을때 나라꼴 어지럽게 만들어서 총선에 패패하고 나서 남이 그 자리 차지하니까 배아파 하고 잘못만 들춰내고 있다. 결국 자신의 티끌은 보지 못하고 남의 티끌만 지적하는 집단이다. 만일 다시 집권을 한다해도 자신이 옳다고만 주장할게 뻔하다고 생각한다. 한나라당이 지금처럼 국민의 민의를 저버린다면 다음 총선에서 다시 집권하기는 어려울것이다.

그렇게 신봉하던 노무현대통령으로 말하고 있다면 정녕 그 분의 의미를 몸소 실천하던지 정치를 떠나던지 해야할것이다. 아니면 그냥 직업 정치인으로 살는게 맞을것이다.

더이상 정치얘기로 블러그를 천하게 만드는 일이 없으면 좋겠다.

p2p 광고를 중단한 포털들도 반성해야 한다

포털들이 P2P웹하드 업체에 대한 광고를 중단하기로 했다는 기사를 봤다.

머 불법을 많이 자행하고 있다는점은 누구라도 부인하지 못할것이다. 자신들의 이익되는 광고수익을 포기하면서 까지 하는 점에서는 어찌보면 바람직 하겠지만 매체가 자신의 잣대로 광고 업체를 정리한다는것 자체는 조금 모순이라고 생각한다.

그사람이 불법을 하던 안하던 그건 법률적인 판단이지 본인들이 생각해서 불법이면 광고를 안받겠다고 판단하는건 포털의 지위를 이용한 부당함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성인광고나 도박게임프로그램, 블러그에 올라온 모든 파일들에 대해서는 열심히 관리한다는 말한디로 때우면서 P2P업체 광고를 게재하지 않겠다는 논리는 매체로서 조금은 과다한 판단이 아닌가 싶다.

요즘 많이 나오고 있는 미디어법의 가장큰 쟁점이 바로 매체 권력화이다. 잘하고 잘못함을 떠나서 권력을 휘두르게 하는건 매우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